기업상담은 구성원 개개인들이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고 자신과 조직을 이해하여 즐거운 직장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기업은 기업상담을 통해 건강하고 성숙한 구성원을 만들어 활기찬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구성원들이 업무에 몰입하여 더 많은 성과와 발전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기업에서 심리상담이라는 영역을 도입하게 될 때는 기업상담을 우리 회사에 도입하는 명확한 목적을 갖고 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직원들 개개인의 정신건강을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 혹은 조직차원에서 필요한 단체교육과 집단상담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할 것인가? 전자의 경우는 기업의 문화와 업무 환경이 개인적이고 연구, 사무 직종에 있는 경우에 흔히 활용된다면 후자의 경우는 집단 문화를 중요시 여기고 업무 시간이 정해져 있어서 개인적인 이탈이 쉽지 않은 경우에 흔히 활용될 것입니다.
만약 자신의 회사가 어떤 목적과 방향으로 기업상담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갖고 출발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원하는 기업상담실의 모형과 상담전문가가 추구하는 상담실 모형이 달라 일관성 있고 안정감 있는 상담실을 유지해 나가기 어렵고 운영결과에 대해 만족감을 갖기도 어렵습니다.
기업상담의 목적성을 마련할 때는 우리 회사 직원들의 특성과 업무 환경, 산업적 속성을 고려해서 자사에 맞는 기업상담의 모형이 어떤 것인지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서는 기업상담을 회사나 조직에서 도입하고자 결정할 때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업상담의 필요성, 효과, 현황, 주요 내용, 운영형태, 진행과정, 고려사항, 환경 및 인프라 구성, 도입 및 운영과정, 실제 운영사례들을 제시하였습니다.




